관심사항/수목재배

메타세콰이아 재배

지암거사 2012. 1. 22. 15:43

 

 

 

 

메타세콰이어 정말 가로수나 산책로에 심어놓으면 왠지 기분이 묘해지는 나무죠 가로수나 산책로로 아주 좋은 나무묘 자라기도 잘자라고 사실 잘생기고 잘자라고 멋지면 판매를 하지 않아도 소비자는 알아서 오게 되어 있죠 그럼 조금이라도 생각이 있다면 심을때 그냥 막심지 말고 아에 멋지게 가로수나 산책로를 만들면서 심으세요 내중에 나무를 팔지 않고 그자리가 멋진 관광농원을 만들세요...

 

 

 

 

 

 

메타쉐콰이어 식목법
카테고리 임산물 생산/유통 조회수 2886
등록자 유제석 등록일 2011년 04월 12일 12:15
내용 1. 식목대상 토지 지목 : 답
2. 면적 : 1,435 mm
3. 수목종류 : 메타쉐콰이어
4. 기타 : 나무의 크기. 면적대비 몇 000수 심어야하는지. 식목방법. 관리방법.
5. 향후 수익적 측면 : 향후 매출 할수 있는 지 & 경로는 있는 지. 몇년 얼마나 키워야
하는지 매출할 수 있는지 등..,

인근농지에 메타쉐콰이어가 심어져있어 관심을 갖게 되었습니다.
농사를 직접 지을 여건은 않돼고
뭔가 직접 키우고 관리할 수 있는 대상을 찾다가 메타쉐콰이어식목에 관심을 갖게되었습니다.
알려주세요..,
첨부파일 첨부파일이 없습니다.


목록

답변

답변자 김헌유 ( kim8282 )
등록일시 2011-04-12 13:53:15
내용 감사 합니다. 제 생각으로는 조경수로 기르시려고 하는것 같습니다. 그럽, 우선 되도록 밀식을 하세요. 그래야 잡초도 안나고, 수고(나무의 키)가 잘 자랍니다. 후에 나무가 너무 빽빽 하다느껴지실 때마다 간견을 넓혀 이식 해주세요. 재배 적지는 극양수로서 음지에서는 생장이 불량하기 때문에 해가 잘 드는 곳이 좋고, 토질은 습기가 있는 비옥한 사질 양토가 이상적이며 건조한 땅이나 토박한 땅에서는 좋지 않습니다. 내한성이 강하고 생장속도가 빠릅니다. 이식 은 낙엽수이므로 낙엽진 후인 가을이나 싹트기 전인 봄에 이식하고, 조림수로 식재할 경우에는 1m~1.5m 정도의 큰 묘목을 심는 것이 안전 합니다. 그리고 묘목의 판매처는 묘목농장이나, 가까운 지역산림조합에 알아 보시면 되겠습니다.





첨부파일 첨부파일이 없습니다.



답변

답변자 박성희 ( psh1771 )
등록일시 2011-04-12 19:07:38
내용 메타세콰이어는 묘목을 식재할 경우에는 밀식을 하는 것이 좋은데 1m*1m 간격으로 식재하는 것이 좋고요. 귀하의 경우에는 1400여주 정도 식재하시면 될것 같고요. 나무를 양묘하시면서 어느시점에서 판매를 할 것인가도 중요한 관건이 되는데요. 장기적으로 생각을 하고 계시다면 한번은 이식을 생각하시는 것이 좋으실 듯 합니다.
첨부파일 첨부파일이 없습니다.



답변

답변자 신현종 ( hyeon2304 )
등록일시 2011-04-13 13:25:00
내용 산림경영컨설팅을 찾아주셔서 반갑습니다.
1.실생 : 종자는 ℓ당 76,300개가 들어가는데 가을에 채취하여 기건저장한 후, 파종 1개월 전에 노천매장하였다가 파종한다. 그러나 아직 우리나라에는 결실주가 없어 현재로는 실생번식은 거의 힘들다.
2.삽목 : 우리나라에서는 거의 삽목으로 번식하고 있으며 삽목은 거의 100% 활착이 될 정도로 잘 된다.
시기는 3월경 싹트기 전에 지난해 자란 가지를 5~10cm 길이로 잘라 1/3가량 묻히게 모래나 흙에 꽂으면 40~50일 후에 발근하기 시작한다. 특히 건조에 약하므로 삽목상이나 이식 후에도 관수에 특별히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 묘상이나 받에 삽목하였을 때는 그대로 비배하였도 좋고 그렇지 않을 때는 장마 때 넓혀 심어 주면 가을까지는 30cm 정도로 자란다. 이식한 편이 잔 뿌리가 많이 난다.
또 장마가 지난 후 그해 자란 가지의 궅어진 것을 5~7cm 길이로 잘라 곧 물에 넣어 물을 올린후 봄에 삽목하는 요령으로 꽂는다. 여름에 삽목한 것은 봄에 한 것에 비하여 활착률은 훨씬 높으나 자라는데 2년이라는 시일이 걸리나 봄에 삽목한 것처럼 이식 후 고사하는 것이 적고 다음 해에는 1m정도 자란다.
삽수는 어린 나무에서 딴 것이 발근율이 좋고 7~8년 이상된 모수에서 딴 삽수는 발근제을 발라서 꽂는 것이 활착률을 높일 수 있는 비결이다
감사합니다.
첨부파일 첨부파일이 없습니다.



답변

답변자 김인헌 ( huen8268 )
등록일시 2011-04-13 15:30:57
내용 메타세콰이어를 실제로 식재한 경험에 의하여 말씀을 드리겠읍니다.
앞선 의견중 1m 간격으로 심으면 잡초관리등 초기관리에는 유리하지만 비배관리에 따라 1년에 1m 정도까지 자라는 속성수이므로 1.5*1.5, 또는 1.8*1.8의 간격으로 심는것이 3-4년뒤 이식을 하지 않으면 수형이 잡히지 않아 낭패를 보는 경우가 없을 것으로 생각됩니다.
제가심은 나무는 만4년이 되었는데 흉고직경이 6-10cm에 달하여 밀식되어 수형이 잘나오지 많는 어려움을 겪고 있읍니다.
메타세콰이아는 규격에 비하여 가격이 저렴한 편이므로 최소한 흉고직경 12cm는 넘어야 상품으로 가치가 있다고 봅니다. 흉고직경12cm-15cm로 보시면 수목식재 간격은 위에서 제시한 간격이 적당할 것으로 사료됩니다.
첨부파일 첨부파일이 없습니다.



답변

답변자 하남식 ( landspider93 )
등록일시 2011-04-13 20:46:58
내용 산림경영컨설팅 방문을 진심으로 환영합니다.
선정하신 메타세콰이어 나무는 원추형으로 자라는 속성수로 습을 아주 좋아합니다.
현재 조경수로 사용하는 나무들은 근원경이나 흉고직경 10cm이상을 선호하고 있습니다.
시간적, 경제적 여유가 되신다면 1m*1m로 식재를 하셔서 규격이 흉고직경 4-6cm정도가 될때 이식을 분명히 실행해 주셔야 합니다.(이식하실 경제적 여건이 되지 않으신다면 처음부터 간격을 넓게 하셔서 식재하십시요) 실행을 하지 않았을 경우 수형의 변형이 와 상품으로서의 가치가 없어져 버립니다(밑가지가 고사하고 웃자라 남). 이식시 흉고직경 10-15cm를 목표로 하실때 나무간 간격은 최소 2.5-3.0m를 유지해 주셔야 됩니다. 큰나무로 자라는 성질이 있어 제초관리는 무난할 것이라 생각됩니다.
수종선택 또한 신중을 기하셔서 하시면 더욱 알찬 토지 이용이 될듯 합니다.
단풍나무,산딸나무,스트로브잣나무,때죽나무,복자기,노각나무등등....
첨부파일 첨부파일이 없습니다.



답변

답변자 강환구 ( ghksrn0118 )
등록일시 2011-04-14 17:39:48
내용 저희 중앙회 홈페이지를 방문하심에 깊은 감사를 드립니다.
앞에서 많은 지도원들께서 좋은 답변들 하셨습니다
저는 조경수 현황에대하여 답변을 드리겠습니다. 많은 분들께서 조경수에 관심이 많아 유효토지에 많은 조경수를 식재하였습니다.
우선 우리나라 조경공사에 선호하는 수종으로는
낙엽교목 : 느티나무, 단풍나무, 복자기나무, 중국단풍,수양단풍, 이팝나무, 대왕참나무,
산딸, 팥배, 게수, 자작,산사, 화살, 왕벗, 때죽,매화등
상록수 : 소나무, 반송, 적송, 스잦, 잣나무, 구상나무, 가이쯔까향, 전나무, 해송등
관목류 : 철쭉류, 회양목, 눈주목, 화살, 개쉬땅나무, 라일락, 낙상홍, 피라칸사스, 남천,
병꽃, 조팝, 황매화등
화목류 : 산수유, 배롱, 마가목, 모감주, 자귀나무, 꽃사과등
생울타리용 : 서양측백, 측백, 귀똥나무, 사철나무, 서양조팝, 왜성조팝, 꼬리조팝, 황금조팝등이 식재되고 있습ㄴ다
이처럼 많은 조경수들이 주변에 식재되고 있으며, 전국 조경수 식재현황을 보면
소나무, 주목, 왕벗, 느티, 산딸, 메타세콰이아, 산수유, 스트로브잣나무,이팝나무 등이 제일 많이 식재되고 있어 현재는 포화상태이니 참고 하시기 바랍니다
유제석님께서 메타를 식재하신다하니 올해는 식재를 지향하시고 1~2년 후에 식재하심이 좋을듯 합니다
참고가 되었으면 좋겟습니다
첨부파일 첨부파일이 없습니다.



답변

답변자 서진오 ( seojo70 )
등록일시 2011-04-15 17:57:20
내용 저희 산림조합 산림경영컨설팅에 참여해 주셔서 대단히 감사합니다.
메타세콰이아는 낙엽침엽교목으로 수고 35m, 직경 2.5m까지 자라는 큰 나무이며, 군집성아 좋아 아름다운 숲을 형성하므로 환경수로 인기가 좋습니다.
우리 나라 기후에 잘 적응하고 있어 정원수, 공원수, 조경풍치수, 가로수, 제방의 환경녹화수로 많이 쓰이고 있고 낙엽침엽교목이며 양수로 수고 35m, 직경 2.5m까지 자라는 큰 나무입니다. 나무줄기 기부에서 팽대하여 나무모양이 둔한 원추형 또는 광원추형을 이루며
수피는 적갈색으로 얇으며 종으로 잘 갈라집니다. 잎은 선형이고 황갈색으로 마주보고 붙어있으며 겨울눈이 뚜렷하게 있습니다. 또한 나무모양이 수려할 뿐 아니라 군집성이 좋아 아름다운 숲을 형성하므로 환경수로 인기가 있습니다.
중국 호북성 이현 수삼패, 양자강의 지류모도계, 산천성 석주현 호남성 서북부 용산현 등에 분포하며 집중분포 지역은 이천서부 소하 부근 약 600㎢ 범위 이내이고, 발견당시 큰 나무 100본을 비롯 1,000여본이 확인되었습니다.
일찍이 우리 나라에 도입되어 향토수종과 같이 환경수, 조경수로 많이 식재되고 있습니다. 때문에 우리 나라 기후에 대한 적응성은 검증되었으며, 생장 역시 우수하므로 현재 이 수종에 대한 개량연구는 하지 않고 있다.
증식방법으로는 묘포시업은 삼나무에 준하며 종자는 노천매장을 하거나 습사 저장 후 파종한다. 파종 후 1개월이 지나면 발아하고 ㎡당 20∼30본 옮겨 심으며 당년에 묘고 30∼35㎝, 근원경 6mm정도로 자랍니다.
종자를 얻기가 어렵기 때문에 꺾꽂이증식이 보통입니다. 3월∼4월경 전년생 가지중 길이 10㎝, 직경 4∼7mm 내외로 꺾꽂이 순을 조제하여 8∼9㎝ 깊이로 꺾꽂이합니다. 꺾꽂이는 ㎡당 200∼400본씩 하며 꺾꽂이 묘판에는 해가림을 하고 물 주기를 해주어야 합니다. 풋가지 꺾꽂이를 할 때는 7∼8년생 이상에서 꺾꽂이 순을 채취하면 발근율이 저하되므로 되도록 어린 나무에서 꺾꽂이 순을 채취해야 합니다.
조림적지는 토심이 깊고 습윤하며 바람이 적은 비옥한 사질양토, 하안, 호수주변, 계곡, 전답주변 등이며 유사종인 낙우송보다 생장이 우수하고 동일 식재지 내에서도 토양의 습도 및 비옥도에 따라서 생장차이가 심합니다. 극양수이기 때문에 광요구량이 커서 음지나 척박지, 건조지에서는 생육이 불량합니다.
용도로는 건축재, 판재, 가구재, 신탄대, 목섬유 공업원료로 이용되며 임목은 정원수, 공원수, 조경풍치수, 가로수, 제방의 환경녹화수로 쓰입니다.
감사합니다.
첨부파일 첨부파일이 없습니다.